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8년부터 ‘사회 참여 기금(SEF, Social Engagement Fund)’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세계의 학생들과 연구자들이 지식 제공뿐만 아니라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제안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연구/활동 목표 및 내용 주된 연구 활동 내용으로는 국제기구 및 산호초 보호 관련 기관 기업에서의 연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호초 백화현상을 막고 멸종위기인 지역에 산호초 군집을 복원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바이오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산호초의 특성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소재로 인공 산호초 군락을 모델링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하는 과정에서 유엔(United Nations) 산하의 활발한 해양 생태계 보존 프로젝트에 동참할 계획이다. ‘UN 해양과학 10년'을 이끄는 기관인 유네스코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는 해양과 해양자원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주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등을 위해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진행된 프로젝트를 탐구하고, 해외 답사 시 접근 가능한 연구 프로그램에 ‘Call for Decade Actions’ 프로그램에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연구/활동 추진 계획 또는 방법론 개념적 준거 틀(Conceptual Framework): 바이오 기술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산호백화현상 해결에 도움이 되는 인공 산호 군집 모델링, 국내외 산호 연구 관련 자체 스터디, 답사, 인터뷰, 자체 모델링 및 모델 디자인 및 연구 결과 정리
연구/활동 추진에 따른 기대 효과 및 후속 계획 첫째, 지속가능한 인공 산호 모델 개발로 해양 생태계 보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산호초에 대한 관심 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기술실효성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한국의 해양에 적용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공산호초 모델링을 통하여 산호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산호 생태계 복원 연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지속가능발전목표 14번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2023년 9월까지의 활동 내역
▶ 2024년 1월까지의 활동 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