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원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GEEF 바로가기 및 언어선택 영역

로고 및 전체메뉴 영역

활동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8년부터 ‘사회 참여 기금(SEF, Social Engagement Fund)’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세계의 학생들과 연구자들이 지식 제공뿐만 아니라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제안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이음”의 효율성 평가
SDG로고 3. Good Health and Well-Being 4. Quality Education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10. Reduced Inequalities 11.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키워드 : #고령층 #시니어 #정보접근성 #디지털문해력 #교육프로그램
등록일 : 2024-10-10  |  조회수 : 7,895

연구/활동 목표 및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디지털 문해력을 향상시켜 스마트폰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일상생활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현재 많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 디자인에서 영어와 같은 외국어 표현이 빈번하게 사용되며, 이는 고령층에게 큰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오직 한글을 사용하여 고령층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시각적 디자인 요소보다는 텍스트의 명확성(마이크로카피)과 음성 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정보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고령층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지원을 통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단계별 시각적 안내를 한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정량적 및 정성적 조사를 실시하여 콘텐츠와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연구/활동 추진 계획 또는 방법론  1) 고령층의 신기술 채택의 장벽: 종합적 검토  2) 고령층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교육 웹사이트 디자인 원칙 (사용자 조사, A/B test, FGI)  3) 교육 웹사이트의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해외/국내 모범 사례  4) 이음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효율성 평가 (수치화, 표 보여주기)  5) 데이터 분석 및 결과 해석

연구/활동 추진에 따른 기대 효과 및 후속 계획  본 연구는 단순히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포괄적 디지털 리터러시(디지털 소양)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는 고령층이 단순한 기술 사용법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정보 검색,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금융, 정부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일상 활동에서 자립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 안전성, 프라이버시 보호, 온라인 사기 예방 등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지식까지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앞으로의 어플 UI/UX의 방향성을 제시해, 포괄적 사사회 통합 도구로 작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령층이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해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고, 건강 관리, 생활 지원, 지역 사회와의 연계 등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울 수 있다. 

로고 및 저작권 영역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301호         
    COPYRIGHT ⓒ igee.yonsei.ac.kr.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