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8년부터 ‘사회 참여 기금(SEF, Social Engagement Fund)’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세계의 학생들과 연구자들이 지식 제공뿐만 아니라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제안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연구/활동 목표 및 내용 몽골에서는 조드와 사막화로 인해 전통적으로 가축을 키우며 생계를 유지해 온 유목민들이 가축의 대량 폐사로 생계를 잃고, 일자리를 찾아 수도인 울란바토르로 몰려들면서 기후 난민들이 모여 사는 게르촌이 형성됐다. 사막화 방지, 기상이변 대응이라는 거시적인 문제해결 외에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빈민촌의 안정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한 '몽골 빈민촌 문제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 마을 설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도 내 빈민촌의 인구가 증가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빈민촌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을 제공할 수 있는 지속가능하고 자급자족이 가능한 마을을 설립하는 것이 연구활동 목표이다. 더불어 빈민촌에 의해 생기고 있는 대기오염과 토양오염을 해결하기 위해서 몽골 환경에 적합한 청정에너지 연료를 찾고자 한다.
연구/활동 추진 계획 또는 방법론 몽골 현지 답사를 통해 근본적인 빈민촌의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 마을의 설립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필요한 인프라를 확보하여 주민 수용성과 이주 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도입의 효용성을 파악한다. 게르 난방 연료 실험, 태양광 도입 효용성 파악, 조림사업의 가능성 및 수익성이 큰 농작물의 파악, 게르촌(빈민촌) 문제점 파악, 지속가능 마을 설립안 기획, 네트워크 형성
연구/활동 추진에 따른 기대 효과 및 후속 계획 1) 기사로는 접할 수 없었던 몽골의 사회 문제를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문제 해결이 필요한 몽골 주민의 입장에서 가장 필요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2) 몽골인 (게르촌 주민, 몽골 현지 대학생, 몽골인 유학생) 인터뷰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지속가능 마을’에 필수적인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3) 몽골과학기술대학교의 대학생 및 환경 동아리와의 교류를 통해 몽골 학생들의 환경 인식 및 지속가능 사회의 필요성을 상기시킬 수 있다. 4) 교내 워크스테이션 부스에 참가하여 본교 재학생들에게 몽골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와 게르촌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지속가능 마을 설립안’을 전달하며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다. 5) 연세대학교 몽골 네트워크 세미나를 통해 몽골인 유학생 및 한국인 재학생들에게 환경 이슈와 지속가능 사회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를 높이고 구상안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6) 다양한 주제의 교육 봉사를 통해 몽골 아이들에게 환경 역량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 문제 해결을 앞장서는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7) 몽골 환경부 및 지자체에 지속가능 마을의 필요성 및 설립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부 및 지자체에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며 지원 계획을 제시할 수 있다.